선박매매중개업의 개관
해운중개업의 분류
1) 선박 매매 중개업 - Ship sale & purchase broking
2) 화물운송 중개업 - Cargo broking
3) 선박 용·대선 중개업 - Charter broking
o 선박매매중개업 (Sale & purchase broking)
· 매도인의 의뢰를 받아 선박이 필요한 매수인을 물색하여 연결 하거나
· 매수인의 의뢰를 받아 매수인에게 적합한 선박을 물색하여 매도인과 연결해서 계 약을 성사시키는 업.
o SNP의 흐름
- 매수 시
매수의사 공개(Order) → 중개인 중고시장 탐색(Search) → 적정후보 선박 선정 → 선박 제원 파악 → 구매자 측에 제의(Proposal) → 검선(Survey) → 협상(Negotiation) → 확정(Confirm) → 계약(Contract) → 인도(Delivery)
- 매도 시
매도의뢰(Order) → 중개시장에 공개(Open) → 선박제원제공→매수자 측 중개인 제의(Proposal) →매수자 측 검선(Survey) → 협상(Negotiation) → 확정(Confirm) → 계약(contract) → 인도(Delivery)
o 화물중개업 (Cargo broking)
- 운송조건(CIF/FOB)에 따라, 하역조건 (FIO/BT)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지속적인 체크가 필요.
- 운송이 종료될 때 까지 장시간 소요되고 꾸준한 서비스가 필요.
- 체크해야 될 사항들이 많아 복잡함
- 관계된 상대 (화주. 하역회사, 운송업자)가 많아 모두를 만족 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.
o 선박 용·대선 중개업 (Charter broking)
국제항해에 종사하는 선박들을 통제 및 관리 하기 위해서는 시차를 극복해야 하고 업무가 연속되는 어려움이 있음
o 선박중개업(SNP)의 매력과 전망
- 기초 사업 자금 (Seed money) 필요하지 않음
- 모든 업종에는 기본 자본금이 필요하나 SNP는 자본금 없이 가능한 사업이며 직업임
* 예를 들어 복합운송(forwarder), 해운 대리점, 선박관리, 선원송출 허가 시에는 보증금과 물리적인 사무실 기준이 필요함
* 공인중개사 혹은 IT개발의 경우도 인허가 조건상 특정 자격 기준에 도달해야 하고 물리적인 사무실 기준이 필요함
- 1인 사업이 가능
* 자택에 사무실을 마련하고 세무서에 사업자 등록 신고 가능함
* 집에서 컴퓨터, 휴대폰으로 업무가능
* 심지어 세무회계까지도 가능
- 시간적인 여유 : 1인 사업이므로 상대적으로 시간적인 여유가 있음
- 대체 불가한 영구적 직업
*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으로 불가능한 사업
* 직접 현장에 가서 탱크 내부를 육으로 검사 하는 등 조사 업무를 수행해야 하고 매도인 및 매수인과 직접 대면해야 하기 때문에 인공지능으로 대체 될 수 없는 직업임
- 단순 노무가 아닌 폭넓고 충분한 지식이 겸비된 전문직종임
o SNP의 필요조건
- 서비스정신 : 선박중개업은 매도인과 매수인의 필요(need)를 충족시켜주는 서비스업이자 시간이 소요되는 업종이므로 희생 정신과 인내심, 서비스 정신이 필요함
- 능통한 언어 능력
* 기본적으로 품위 있는 언어로 적기, 적소에 필요한 언어를 구사해야 함
* 전문적인 언어를 사용해야함으로 전문 용어는 반드시 숙지해야 함
* 국어 뿐만 아니라 외국어 사용 시에도 간단 명료하고 상대가 이해하기 쉬운 문장과 어법을 구사해야 함
(예. 이메일 작성 및 전화 통화 시)
- 데이터 수집 및 보관
선박과 관련된 모든 요인에 관한 방대한 데이터를 구축해야 함
구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매도인이 원하는 종류의 선박과 비교, 조사 하여 필요한 각종 정보를 추출 할 수 있음
(예, 의장품, 장비, 엔진등 특성과 AS문제, 부품조달 등)
- 폭넓은 지식 필요 : 선박의 종류별 특성 , 선박 검사 규정, 선박 수리, 금융 및 법률, 계약서 작성, 입·출항 절차 등에 관한 폭넓은 지식이 필요함
o SNP에 필요한 지식
- 선박의 종류별 특성 이해 : General cargo, Bulk carrier, Container, Reefer carrier, Tanker, Chemical tanker, Passenger vessel등 평소 각종 선박의 특성과 구조를 잘 파악해두어야 바이어가 원하는 선종을 정확히 이해하여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음